|  
                            
 
   
  
 
  [’13.10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는 10월 전국 지가가 9월 대비 0.15%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보다 0.71%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년 
             | 
            
             ‘13년 
             |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 
             0.06 
             | 
            
             0.07 
             | 
            
             0.08 
             | 
            
             0.03 
             | 
            
             0.07 
             | 
            
             0.11 
             | 
            
             0.13 
             | 
            
             0.13 
             | 
            
             0.11 
             | 
            
             0.02 
             | 
            
             0.001 
             | 
            
             0.08 
             | 
            
             0.15 
             | 
         
    
 
  
  < 지역별 지가변동률(%)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 
             '13.10월 지변율 
             | 
            
             0.15 
             | 
            
             0.15 
             | 
            
             0.21 
             | 
            
             0.09 
             | 
            
             0.10 
             | 
            
             0.15 
             | 
         
        
            | 
             고점대비(’08.10) 
             | 
            
             0.71 
             | 
            
             -0.45 
             | 
            
             -2.24 
             | 
            
             1.03 
             | 
            
             1.32 
             | 
            
             2.86 
             | 
         
    
 
 
 
  [1] 행정구역별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권 모두 0.15% 상승하였다. 
 
  * 수도권(%) : 0.09(’13.6월)→0.003(7월)→-0.02(8월)→0.09(9월)→0.15(10월)  
  * 지방권(%) : 0.13(’13.6월)→0.05(7월)→0.04(8월)→0.06(9월)→0.15(10월) 
 
 
 서울시(0.21%)는「8.28 대책」과 가을 이사철 영향으로 인한 거래량 증가 등으로 2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용산구(-0.10%)를 제외한 송파구(0.44%), 강남구(0.38%), 강동구(0.32%), 서초구(0.32%) 등 24개 자치구가 상승하였다. 
 
   * 서울(%) :0.10(’13.6월) → -0.04(7월) → -0.03(8월) → 0.15(9월) → 0.21(10월) 
 
 
 제주도(0.23%)는 외국인 투자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거래 활성화 영향으로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제주(%) :-0.01(’13.6월) → -0.06(7월) → 0.02(8월) → 0.002(9월) → 0.23(10월) 
 
 
 안정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택지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하남시(0.48%),「8.28 대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서울시 송파구(0.44%)강남구(0.38%) 등이 많이 올랐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 
             1 
             | 
            
             경기도 하남시 
             | 
            
             0.475 
             | 
            
             미사지구 주택개발 진행, 감일지구 보상진행, 지역현안사업 2지구 및 유니온스퀘어 개발 등 대규모 개발사업 호재 영향 
             | 
         
        
            | 
             2 
             | 
            
             세종특별자치시 
             | 
            
             0.441 
             | 
            
             정부기관 이주 및 도시기반시설 확대 조성의 개발기대 심리로 인한 지가상승 
             | 
         
        
            | 
             3 
             | 
            
             서울특별시 송파구 
             | 
            
             0.436 
             | 
            
             제2롯데월드 건설사업, 장지동 택지개발 사업지구, 동남권유통사업단지, 문정도시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 및 8.28 부동산 대책 영향 
             | 
         
        
            |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 
            
             0.384 
             | 
            
             세곡지구 등 보상 대토수요 지속, KTX 수서역사 개발 및 가로수길 상권 활성화 영향, 8.28 부동산 대책 및 가을 이사철 영향 
             | 
         
        
            | 
             5 
             | 
            
             대구광역시 달성군 
             | 
            
             0.323 
             |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및 진입도로 개설사업, 
            사이언스파크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 등의 영향 
             | 
         
    
 
 
 
 반면,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무산된 서울시 용산구(-0.10%)는 하락세가 계속되었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 
             1 
             | 
            
             서울특별시 용산구 
             | 
            
             -0.100 
             |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 및 한남뉴타운 사업추진 난항에 따른 가격수준 하락, 저가매물 위주의 미미한 거래량 영향 
             | 
         
        
            | 
             2 
             | 
            
             경기도 파주시 
             | 
            
             -0.087 
             | 
            
             부동산 경기 침체 및 개발호재 부재, 남북관계의 악화로 거래건수 및 거래량에서 전월 대비 큰 폭 감소 
             | 
         
        
            | 
             3 
             | 
            
             인천광역시 계양구 
             | 
            
             -0.074 
             | 
            
             진행중인 개발사업 부재,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 등이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답보상태 
             | 
         
        
            | 
             4 
             | 
            
             경기도 고양일산동구 
             | 
            
             -0.067 
             | 
            
             신규 분양시장의 침체, 거래량 감소 및 저가매수세 등 지역내 시장침체 영향 
             | 
         
        
            | 
             5 
             | 
            
             경기도 김포시 
             | 
            
             -0.067 
             | 
            
             김포한강신도시 내 공동주택 입주율 저조, 대규모 신도시 개발로 인한 구/읍면도심 지역 상권 쇠퇴 영향 
             |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20%), 계획관리지역(0.15%)이 가장 많이 올랐고,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 대지(0.21%), 전(0.11%)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 
            
             도시지역 
             | 
            
             非도시지역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 
             보전 
             | 
            
             생산 
             | 
            
             계획 
             | 
         
        
            | 
             ‘13.8월 
             | 
            
             -0.01 
             | 
            
             0.03 
             | 
            
             0.03 
             | 
            
             -0.001 
             | 
            
             -0.07 
             | 
            
             -0.04 
             | 
            
             0.001 
             | 
            
             -0.05 
             | 
            
             -0.01 
             | 
         
        
            | 
             9월 
             | 
            
             0.11 
             | 
            
             0.08 
             | 
            
             0.11 
             | 
            
             0.02 
             | 
            
             0.01 
             | 
            
             -0.003 
             | 
            
             0.04 
             | 
            
             -0.02 
             | 
            
             -0.04 
             | 
         
        
            | 
             10월 
             | 
            
             0.20 
             | 
            
             0.08 
             | 
            
             0.13 
             | 
            
             0.10 
             | 
            
             -0.03 
             | 
            
             0.07 
             | 
            
             0.15 
             | 
            
             0.08 
             | 
            
             0.08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 
            
             농지 
             | 
            
             대지 
             | 
            
             임야 
             | 
            
             공장 
            용지 
             | 
            
             기타 
             | 
         
        
            | 
             전 
             | 
            
             답 
             | 
            
             주거용 
             | 
            
             상업용 
             | 
         
        
            | 
             ‘13.8월 
             | 
            
             0.04 
             | 
            
             -0.04 
             | 
            
             -0.03 
             | 
            
             0.01 
             | 
            
             -0.08 
             | 
            
             0.03 
             | 
            
             0.11 
             | 
         
        
            | 
             9월 
             | 
            
             0.04 
             | 
            
             0.004 
             | 
            
             0.09 
             | 
            
             0.05 
             | 
            
             0.01 
             | 
            
             0.11 
             | 
            
             0.03 
             | 
         
        
            | 
             10월 
             | 
            
             0.11 
             | 
            
             0.09 
             | 
            
             0.21 
             | 
            
             0.10 
             | 
            
             0.03 
             | 
            
             0.11 
             | 
            
             -0.001 
             | 
         
    
 
 
 
  [’13.10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207,788필지, 145,796천㎡로 전년 동월(172,385필지, 132,035천㎡) 대비 ① 필지수 20.5% 증가, ② 면적 10.4% 증가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44.2% 증가, 면적 20.1% 증가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74,505필지, 134,905천㎡로 전년 동월(67,494필지, 122,183천㎡) 대비 ① 필지수 10.4% 증가, ② 면적 10.4% 증가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10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35.9%, 면적 92.5%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31.2% 증가, 면적 19.0% 증가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10월 참고 그래프  
                 2. ’13.10월 지가동향  
                 3. ’13.10월 토지거래량  
                 4. ’13.10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