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9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는 9월 전국 지가가 8월 대비 0.08%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보다 0.56%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 
             ‘12년 
             | 
            
             ‘13년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0.02 
             | 
            
             0.06 
             | 
            
             0.07 
             | 
            
             0.08 
             | 
            
             0.03 
             | 
            
             0.07 
             | 
            
             0.11 
             | 
            
             0.13 
             | 
            
             0.13 
             | 
            
             0.11 
             | 
            
             0.02 
             | 
            
             0.001 
             | 
            
             0.08 
             | 
         
    
 
  
 < 지역별 지가변동률(%) >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 
             '13.9월 지변율 
             | 
            
             0.08 
             | 
            
             0.09 
             | 
            
             0.15 
             | 
            
             0.06 
             | 
            
             0.04 
             | 
            
             0.06 
             | 
         
        
            | 
             고점대비(’08.10) 
             | 
            
             0.56 
             | 
            
             -0.60 
             | 
            
             -2.44 
             | 
            
             0.94 
             | 
            
             1.21 
             | 
            
             2.70 
             | 
         
    
 
 
 
  [1] 행정구역별  
 
 권역별로는 수도권(0.09%)이 지방권(0.0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수도권(%):0.14(’13.5월) → 0.09(6월) → 0.003(7월) → -0.02(8월) → 0.09(9월)  
  * 지방권(%):0.11(’13.5월) → 0.13(6월) → 0.05(7월) → 0.04(8월) → 0.06(9월) 
 
 
 여름철 비수기, 취득세 감면 종료 등의 영향으로 2개월(7·8월) 연속 하락했던 서울시(0.15%)는,  
 
  송파구(0.43%), 강남구(0.33%) 등의 지가 상승 영향으로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 서울시(%) :0.10(’13.6월) → -0.04(7월) → -0.03(8월) → 0.15(9월) 
 
 
 안정세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하남시(0.46%), 제2롯데월드 등 개발사업과 ‘8.28 부동산 대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서울시 송파구(0.43%)가 가장 많이 올랐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 
             1 
             | 
            
             경기도 하남시 
             | 
            
             0.456 
             | 
            
             감일지구 보상, 미사보금자리 주택개발, 감북지구 해제예상지역  
            호가 상승, 유니온스퀘어 개발 등 대규모 개발사업의 영향 
             | 
         
        
            | 
             2 
             | 
            
             서울특별시 송파구 
             | 
            
             0.434 
             | 
            
             제2롯데월드, 동남권유통사업단지, 문정도시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 
            사업 및 8.28 부동산 대책에 따른 가격 회복 기대감 영향 
             | 
         
        
            | 
             3 
             | 
            
             세종특별자치시 
             | 
            
             0.388 
             | 
            
             정부기관 이주 및 도시기반시설 확대 조성의 개발기대 심리 및  
            토지거래량 증가 영향 
             | 
         
        
            |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 
            
             0.327 
             | 
            
             세곡지구 등 보상 대토수요 지속, KTX 수서역사 개발, 가로수길 상권  
            활성화 영향 및 8.28 부동산 대책에 따른 가격 회복 기대감 영향 
             | 
         
        
            | 
             5 
             | 
            
             인천광역시 서구 
             | 
            
             0.270 
             | 
            
             KTX 검암역 정차 발표, 공항고속도로 청라I.C 개통, 청라역사 신축 
            등 교통체계 개선과 청라지역 아파트 입주로 인구 증가의 영향 
             | 
         
    
 
 
 
 반면, 대규모 개발사업 진행이 부진한 강원도 동해시(-0.18%), 김포한강신도시 입주가 저조한 경기도 김포시(-0.15%)는 지가가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 
             1 
             | 
            
             강원도 동해시 
             | 
            
             -0.183 
             | 
            
             전반적인 경기침체 및 묵호항재개발사업, 망상해오름리조트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의 부진 영향 
             | 
         
        
            | 
             2 
             | 
            
             경기도 김포시 
             | 
            
             -0.148 
             | 
            
             김포한강신도시 내 공동주택 입주율 저조, 대규모 신도시 개발로 인한 구/읍면도심 지역 상권 쇠퇴 영향 
             | 
         
        
            | 
             3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0.134 
             |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의 진척 부진 및 경기침체로 인한 상업지역의 임대료 하락과 공실률 증가 영향 
             | 
         
        
            | 
             4 
             | 
            
             서울특별시 용산구 
             | 
            
             -0.128 
             |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에 따른 가격수준 하락, 저가매물위주의 미미한 거래량 영향 등 
             | 
         
        
            | 
             5 
             | 
            
             경상남도 남해군 
             | 
            
             -0.116 
             | 
            
             지역경제 침체 및 여수엑스포 종료에 따른 연계 관광산업 수요감소 영향 등 
             |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11%), 공업지역(0.11%)이 가장 많이 올랐고, 이용상황별로는 공장용지(0.11%), 주거용 대지(0.09%)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 
             구 분 
             | 
            
             도시지역 
             | 
            
             非도시지역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 
             보전 
             | 
            
             생산 
             | 
            
             계획 
             | 
         
        
            | 
             ‘13.7월 
             | 
            
             -0.04 
             | 
            
             0.09  
             | 
            
             0.07 
             | 
            
             0.06  
             | 
            
             0.04 
             | 
            
             0.07 
             | 
            
             0.16 
             | 
            
             -0.01 
             | 
            
             0.07 
             | 
         
        
            | 
             8월 
             | 
            
             -0.01 
             | 
            
             0.03 
             | 
            
             0.03 
             | 
            
             -0.001 
             | 
            
             -0.07 
             | 
            
             -0.04 
             | 
            
             0.001 
             | 
            
             -0.05 
             | 
            
             -0.01 
             | 
         
        
            | 
             9월 
             | 
            
             0.11 
             | 
            
             0.08 
             | 
            
             0.11 
             | 
            
             0.02 
             | 
            
             0.01 
             | 
            
             -0.003 
             | 
            
             0.04 
             | 
            
             -0.02 
             | 
            
             -0.04 
             |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 
             구 분 
             | 
            
             농지 
             | 
            
             대지 
             | 
            
             임야 
             | 
            
             공장 
            용지 
             | 
            
             기타 
             | 
         
        
            | 
             전 
             | 
            
             답 
             | 
            
             주거용 
             | 
            
             상업용 
             | 
         
        
            | 
             ‘13.7월 
             | 
            
             0.07 
             | 
            
             0.05 
             | 
            
             -0.06 
             | 
            
             0.05 
             | 
            
             0.05 
             | 
            
             0.07 
             | 
            
             0.39 
             | 
         
        
            | 
             8월 
             | 
            
             0.04 
             | 
            
             -0.04 
             | 
            
             -0.03 
             | 
            
             0.01 
             | 
            
             -0.08 
             | 
            
             0.03 
             | 
            
             0.11 
             | 
         
        
            | 
             9월 
             | 
            
             0.04 
             | 
            
             0.004 
             | 
            
             0.09 
             | 
            
             0.05 
             | 
            
             0.01 
             | 
            
             0.11 
             | 
            
             0.03 
             | 
         
    
 
 
 
  [’13.9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44,135필지, 121,410천㎡로 전년 동월(133,064필지, 114,964천㎡) 대비 ① 필지수 8.3% 증가, ② 면적 5.6% 증가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5.6% 감소, 면적 5.8%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56,767필지, 113,320천㎡로 전년 동월(62,134필지, 107,736천㎡) 대비 ① 필지수 8.6% 감소, ② 면적 5.2% 증가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9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39.4%, 면적 93.3%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15.2% 감소, 면적 5.6% 감소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 (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9월 참고 그래프  
                2. ’13.9월 지가동향  
                3. ’13.9월 토지거래량 
                4. ’13.9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