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2012년도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2011년(21,611천TEU)보다 886천TEU(4.1%) 증가한 22,497천TEU를 기록하여 2011년에 처음으로 2천만TEU 돌파 이후 2년 연속 2천만TEU를 달성하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위기, 중국 경제성장율 둔화, 내수 경기 침체 등 국내외 여건의 악화에도 부산항 환적화물 증가, 광양항 활성화에 따른 결과이다.
 
 수출입화물(13,664천TEU)과 환적화물(8,450천TEU)이 각각 전년도에 비해 1.9%, 9.5% 증가하였으나, 연안화물(468천TEU)은 내수 경기 침체에 따라 19.8%의 감소세를 기록하였다.
 
 < ‘12년 월별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전년 동월대비) > (단위 : 천TEU, %)
 
    
        
            | 구 분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2.10 | '12.11 | '12.12 | 누계 |  
            | 합계 (증가율) | 1,791 (6.0) | 1,646 (12.6) | 1,966 (3.9) | 1,936 (4.7) | 2,018 (8.1) | 1,867 (4.6) | 1,914 (0.8) | 1,744 (△3.2) | 1,903 (8.1) | 1,902 (0.2) | 1,888 (3.5) | 1,894 (0.7) | 22,497 (4.1) |  
            | 수출입 (증가율) | 1,051 (△2.0) | 1,038 (10.8) | 1,187 (△1.8) | 1,150 (△1.7) | 1,202 (4.1) | 1,140 (3.7) | 1,189 (1.9) | 1,060 (△1.8) | 1,169 (6.9) | 1,145 (△2.6) | 1,152 (4.0) | 1,158 (0.8) | 13,664 (1.9) |  
            | 환적 (증가율) | 692 (21.3) | 539 (14.2) | 738 (14.2) | 750 (17.0) | 786 (17.1) | 703 (9.3) | 698 (13.1) | 663 (△3.1) | 709 (12.2) | 722 (5.7) | 709 (5.7) | 703 (3.2) | 8,450 (9.5) |  
            | 연안 (증가율) | 48 (0.1) | 38 (46.0) | 41 (9.9) | 36 (△6.3) | 30 (△27.6) | 23 (△44.7) | 26 (△10.0) | 21 (△44.5) | 24 (△28.9) | 35 (△13.2) | 28 (△39.8) | 33 (△36.1) | 384 (△19.8) |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물동량은 2011년에 비해 5.2% 증가한 17,031천TEU를 기록하였다. 이는 글로벌 선사의 부산항 거점 환적 물량 확대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항 환적물동량은 2011년(7,352천TEU)보다 10.2%(748TEU) 증가한 8,100천TEU를 처리하여 세계 2위 환적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광양항은 배후권역 주요 화주의 수입 물량 증가에 따라 전년도(2,085천TEU)에 비해 2.8% 증가한 2,144천TEU처리 하여 개장 이후 3년 연속 200만TEU를 달성, 국내외 선․화주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인천항은 전체 물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과의 교역물동량 감소로 전년 대비 1.4% 감소한 1,970천TEU를 기록하였으나, 2013년도에는 2,000천TEU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2012년 12월 전국 항만물동량은 전년 동월에 비해 0.7% 증가한 1,894천TEU를 기록하였으며, 환적화물은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한 703천TEU를 처리하였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세계 경기침체로 수출입 증가세는 둔화(’10년, 19.1% → ’11년, 8.0% → ’12년, 4.1%)되었으나, 부산항 환적화물(10.2%) 증가의 영향으로 2년 연속 2천만TEU 달성이라는 큰 성과를 거두게 되었으며,
 
 2013년에도 피더항로 확대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환적화물을 유치하고,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화물을 창출하는 선진형 항만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