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국 항만의 11월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지난해 같은달(1,824천TEU)에 비해 2.3%(11월까지 누계 4.2% 증가) 증가한 1,866천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142천(3.1%↑), 환적화물 691천(3.0%↑), 연안화물 34천TEU(27.3%↓)
 
 이는 세계경기 위축, 내수부진 등의 국내외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증가세를 유지한 결과이나, 그 증가폭은 감소한 결과이다.
 * 전년대비 누계증가율 : 6.4('12.6) → 5.6('12.7) → 4.5('12.8) → 4.9('12.9) → 4.4('12.10) → 4.2('12.11)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0월) >   (단위 : 천TEU, %) 
 
    
        
            | 구 분 | '10. 11월 | '11. 11월 | '11.1~ 11월 | 최근 3개월 | '12.1~ 11월 (추정) |  
            | '12.9월 | '12.10월 | '12.11월 (추정) |  
            | 총 물 동 량 | 1,664 | 1,824 | 19,729 | 1,903 | 1,902 | 1,866 | 20,552 |  
            | 전년동기 대비 | 11.1 | 9.3 | 11.4 | 8.1 | 0.2 | 2.3 | 4.2 |  
            |    | 수출입 | 1,079 | 1,108 | 12,264 | 1,169 | 1,145 | 1,142 | 12,473 |  
            |    | 환 적 | 543 | 671 | 7,038 | 709 | 722 | 691 | 7,724 |  
            |    | 연 안 | 41.3 | 46.2 | 426.5 | 24.2 | 34.6 | 33.6 | 355.2 |  
 수출입화물(1,142천TEU)은 전년 동월(1,108천TEU) 대비 소폭 증가(34천TEU↑, 3.1%↑)할 것으로 예상되며, 환적화물(691천TEU)도 지난해 11월(671천TEU)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으나, 그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0.8% 증가한 1,381천TEU를, 환적화물*은 662천TEU(2.6%↑)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부산항 10월 환적 물동량은 '11년 월 평균(613천TEU)대비 8.0% 증가한 수준
 
 다만, 향후 부산항 환적화물 증가여부는 중국 및 글로벌 경기 회복 등 복합적인 요인에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양항은 주요선사의 공컨테이너 물량 증가로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7.2% 증가한 188천TEU를 처리하였으며, 환적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8.4% 증가한 27천TEU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천항은 중국(1.8%↑), 베트남(22.0%↑) 및 태국(23.9%↑)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4.8% 증가한 179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전망된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1월) >   (단위 : 천TEU, %) 
 
    
        
            | 구 분 | '10. 11월 | '11. 11월 | '11.1~11월 | 최근 3개월 | '12.1~10월 (추정) |  
            | '12. 9월 | '12.10월 | '12. 11월 (추정) |  
            | 부산항 | 1,210 | 1,371 | 14,786 | 1,435 | 1,441 | 1,381 (0.8) | 15,584 (5.4) |  
            | 광양항 | 161 | 160 | 1,911 | 191 | 176 | 188 (17.2) | 1,964 (2.7) |  
            | 인천항 | 177 | 171 | 1,821 | 169 | 169 | 179 (4.8) | 1,793(△1.6) |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경제동향 등을 고려할 때, 과거와 같은 물동량 증가세를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전망하며,
 
 “중국 등 주변 항만 동향, 해운·항만 여건변화를 지속 점검하고,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한 물량 창출 등 항만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