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피스빌딩) 투자수익률 0.21%*로 전분기대비 1.52%p 하락     * 투자수익률(0.21%) = 소득수익률(1.12%) + 자본수익률(-0.91%) - 공실률은 0.2%p 상승한 8.6%, 임대료는 0.1천원/㎡ 상승한 15.5천원/㎡
 
 
 ◈ (매장용빌딩) 투자수익률 0.47%*로 전분기대비 1.12%p 하락
     * 투자수익률(0.47%) = 소득수익률(0.95%) + 자본수익률(-0.48%) - 공실률은 0.1%p 하락한 9.2%, 임대료는 0.4천원/㎡ 상승한 45.5천원/㎡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서울과 6개 광역시, 경기 일부지역에 소재한 오피스빌딩 1,000동과 매장용빌딩 2,000동의 ’12년 3/4분기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투자정보를 조사·발표하였다.
 * 조사기준일 : 투자수익률(’12.7.1~9.30), 공실률(’12.9.30기준), 임대료(’12.9.30기준)
 ** 대상 : (오피스) 58개 주요지역 6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업무용 건물
 (매장용) 87개 주요상권 3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매장용 건물
 
 
 
 ’12년 3/4분기 투자수익률※은 오피스빌딩이 0.21%(연간 투자수익률 : 5.35%)로 전분기대비 1.52%p 하락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0.47%(연간 투자수익률 : 5.32%)로 전분기대비 1.12%p 하락하였다.
 ※ 투자수익률 = 소득수익률+자본수익률
 - 소득수익률 = 순영업소득(임대료 등 수입 - 영업경비)/기초자산가격
 - 자본수익률 = 자산가격변동액/기초자산액
 투자수익률 하락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성장률 하향*이 전망되는 가운데 소비 및 투자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어 소득수익률과 자본수익률이 동시에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발표(‘12.10.11) : 경제성장률 (3.0%→2.4%)
 임대료 수입 등의 소득수익률은 임대료가 보합내지 소폭 상승하였으나, 재산세 부과*에 따른 영업경비 증가로 인해 오피스빌딩과 매장용빌딩 모두 전분기대비 하락한 각각 1.12%, 0.95%로 나타났다.
 * 2012년 재산세 납부기간 : 건축물(7.16~7.31), 토지(9.16~10.2)
 빌딩의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전반적인 부동산시장 경기침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며 오피스빌딩은 전분기대비 1.24%p 하락한 -0.91%, 매장용빌딩은 전분기대비 0.77%p 하락한 -0.48%로 나타났다.
 
   < 투자수익률 추세 >  (단위: %) 
 
    
        
            | 구 분 | ’10 | ’11 | ‘12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연간* |  
            | 오 피 스 | 소득수익률 | 1.04  | 1.33  | 1.38  | 1.41  | 1.14  | 1.37  | 1.40  | 1.40  | 1.12  | 5.40  |  
            | 자본수익률 | 0.09  | -0.02  | 0.50  | 0.59  | 0.25  | 0.16  | 0.38  | 0.33  | -0.91  | -0.05  |  
            | 투자수익률 | 1.13  | 1.31  | 1.88  | 2.00  | 1.39  | 1.53  | 1.78  | 1.73  | 0.21  | 5.35  |  
            | 매 장 용 | 소득수익률 | 0.93  | 1.26  | 1.29  | 1.32  | 0.99  | 1.31  | 1.30  | 1.30  | 0.95  | 4.95  |  
            | 자본수익률 | 0.18  | 0.36  | 0.58  | 0.53  | 0.29  | 0.19  | 0.36  | 0.29  | -0.48  | 0.36  |  
            | 투자수익률 | 1.11  | 1.62  | 1.87  | 1.85  | 1.28  | 1.50  | 1.66  | 1.59  | 0.47  | 5.32  |   ※ 분기별 투자수익률은 3개월 동안의 보유기간 수익률임 ※ 연간 수익률은 최근 4분기(2011년 4/4분기 ~ 2012년 3/4분기) 동안의 시간가중 수익률임
 
 
 
 
 
 
 
 ’12.9.30일 기준 공실률은 오피스빌딩의 경우 평균 8.6%로 전분기(’12.6.30.기준)에 비해 0.2%p 상승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9.2%로 전분기 대비 0.1%p 소폭 하락하였다.
 
 오피스빌딩은 신규공급 및 경기둔화 영향으로 ‘12년 1분기이후 연속 상승하였으며, 매장용빌딩은 전분기 대비 하락하였으나 변동폭은 미미한 수준이다.
 
   < 공실률 추세 >  (단위 : %,%p) 
 
    
        
            | 구 분 | ‘10 | ‘11 | ‘12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전기비 |  
            | 오피스 | 9.5 | 8.6 | 8.1 | 8.0 | 7.8 | 7.6 | 7.8 | 8.4  | 8.6  | 0.2  |  
            | 매장용 | 10.3 | 9.6 | 9.0 | 8.4 | 8.0 | 7.8 | 9.2 | 9.3  | 9.2  | -0.1  |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공실률임
 
 
 
 
 ’12.9.30일 기준 임대료(월세 기준)는 오피스빌딩의 경우 전분기대비 0.1천원/㎡ 상승한 평균 15.5천원/㎡이고, 매장용빌딩의 경우 전분기 대비 0.4천원/㎡ 상승한 평균 45.5천원/㎡로 나타났다.
 
 < 월세기준 임대료 추세 > (단위 : 천원/㎡) 
 
    
        
            | 구 분 | ‘10 | ‘11 | ‘12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전기비 |  
            | 오피스 | 14.8  | 15.0  | 15.0  | 15.1  | 15.1  | 15.2  | 15.4 | 15.4 | 15.5 | 0.1 |  
            | 매장용 | 41.9  | 42.0  | 42.2  | 42.6  | 42.9  | 43.2  | 44.6 | 45.1 | 45.5 | 0.4 |   ※ 임대료는 오피스빌딩 3층이상, 매장용빌딩은 1층기준임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임대료임
 
 
 
 
 
 지역별로 살펴보면 오피스 빌딩의 경우 투자수익률은 전 지역이 하락하였고, 공실률은 서울과 대구를 제외하고 상승하였으며, 임대료는 대전을 제외하고 소폭 상승하였다.
 
 매장용빌딩은 투자수익률이 전 지역에서 하락한 가운데 공실률은 서울, 인천, 광주를 제외하고 하락하였으며 임대료는 대구와 성남이 소폭 하락한 반면 그 외 지역은 소폭 상승하였다.
 
 
 2012년 3/4분기 추계결과 지역별 주요 변동사유
  
 
    
        
            | 구분 | 전기대비(%p,천원/㎡) | 변동사유 |  
            | 투자수익률 | 공실률 | 임대료 |  
            | 오피스 | 전국 | ▽1.52 | △0.2  | △0.1  | ․ 경기둔화 및 신규공급, 부동산시장 침체 영향 등으로
 공실증가와 자산가치 하락 동반됨
 |  
            | 서울 | ▽1.73 | ▽0.1  | △0.1  | ․ (마포) 계약조건 완화로 인한 임대수요 증가․ (역삼남부) 장기공실 빌딩 임대차계약
 |  
            | 부산 | ▽0.85 | △0.4  | 0.0  | ․ (초량지역) 메리츠화재사옥 신축(‘12.4월) 등 영향으로 공실증가 |  
            | 대구 | ▽0.83 | ▽0.1  | △0.1  | - |  
            | 인천 | ▽1.15 | △1.4  | 0.0  | ․ (기타) 부평역 주변 신규임차인 부재, 오피스 공급예정 맞물려 공실증가 |  
            | 광주 | ▽1.46 | △0.8  | 0.0  | ․ (금남로) 신도심으로 오피스 수요이동․ (상무지구) 일시적 리모델링으로 인한 공실증가
 |  
            | 대전 | ▽0.82 | △0.8  | ▽0.1  | ․ (둔산지역) 일부빌딩 임대료 소폭 하향 조정 |  
            | 울산 | ▽0.69 | △0.3  | 0.0  | ․ (학성지역) 우정혁신도시 개발 기대감 자산가치 소폭 상승 |  
            | 성남 | ▽2.25 | △1.5  | △0.1  | ․ 판교벤처벨리 등 오피스건물 신규공급에 따른 임차자 이탈 |  
            | 수원 | ▽2.73 | 0.0  | △0.1  | ․ 광교신도시로의 임대수요 이동 |  
            | 매장용 | 전국 | ▽1.12 | ▽0.1  | △0.4  | ․ 서울의 경우 호재지역을 중심으로 임대료가 상승하였으나,전반적인 자산가치 하락 및 임대료 보합을 보임
 |  
            | 서울 | ▽1.12 | △0.1  | △0.9  | ․ (명동) 외국인 관광객 수요로 매출증가, 대기업 플래그쉽스토어 진출 경쟁으로 임대료 상승세 ․ (강남권) 분당선 연장선 개통(왕십리~선릉구간, ‘12.10.6)에 따른 교통여건 개선 호재 ․ (문정) 인근 장지동 가든파이브로 아울렛상권 이동 |  
            | 부산 | ▽0.58 | ▽0.1  | △0.1  | ․ (덕천, 수영) 지가상승 영향으로 자산가치 소폭 상승 |  
            | 대구 | ▽0.36 | ▽0.4  | ▽0.4  | ․ (칠곡) 점진적 상권 쇠퇴 지속․ (상인) 신규 임대차계약분 임대료 소폭 하향 조정
 |  
            | 인천 | ▽1.26 | △0.7  | △0.3  | ․ (주안역) 임대수입 감소로 인한 상권약화․ (인하대) 대학가 주변 고시원 신축 완화로 상가상층부 원룸 공실증가
 |  
            | 광주 | ▽1.56 | △0.7  | △0.1  | ․ ( 전남대) 신도심으로 임대수요 이동으로 대학상권 다소 약화 |  
            | 대전 | ▽1.15 | ▽1.1  | 0.0  | ․ (궁동) 일시적 공실물량 해소 |  
            | 울산 | ▽1.34 | ▽0.8  | 0.0  | ․ (성남옥교) 노선상가 및 편의시설 집중되어 있는 젊음의 거리 중심 유동인구 증가 |  
            | 성남 | ▽2.25 | ▽0.6  | ▽0.2  | ․ (정자미금) 역세권 주변 매장 수익감소로 임대료 하락 |  
            | 수원 | ▽3.20 | ▽0.3  | 0.0  | ․ 비교적 쇠퇴한 상권을 중심으로 자산가치 하락 |  
            | 안양 | ▽1.05 | ▽1.3  | 0.0  | ․ (평촌범계) 범계역 롯데백화점(‘12.3월) 개점, 스마트콘텐츠센터(‘12.5.30) 개관 효과로 유동인구 증가
 |  
            | 고양 | ▽0.79 | 0.0  | 0.0  | - |  
 한편 ‘12년 4/4분기에는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의 구조조정을 위한 빌딩 매물증가와 사무공간 축소 영향으로 공실률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나, 투자수익률은 3/4분기 재산세 납부의 영업경비 부담이 해소되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상업용부동산 임대사례조사는 부동산 조사․평가․통계 전문기관인 한국감정원이 지역조사, 임대인․임차인 면담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투자정보는 매 분기별로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www.mltm.go.kr),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www.realtyprice.or.kr),
 임대사례통계홈페이지(http://kcpi.kab.co.kr, Tel. 02-2187-4043, 4050)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별첨 :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