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0
|
담당
|
사양 및 과업
|
인공지능연구센터
|
김시종
|
TEL : 055-280-1455
|
|
입찰 및 계약
|
구매자산실
|
서민원
|
TEL : 055-280-1237
|
I. 적용 범위
본 제안요청서는 본 입찰과 관련된 구매의 납품, 제작, 설치, 과업이행 등에 따른 한국전기연구원과 계약자간 계약절차, 평가, 이행조건 등 관련 이행 제반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II. 일반 사항
1. 지원일반
1.1 본 입찰과 관련하여 입찰목적물의 사양은 한국전기연구원이 규격서에 제시한 사양의 성능 및 제안사항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하며, 동등 또는 이상의 성능을 보장하여야 한다.
1.2 본 제안요청서, 규격서(사양서, 시방서 등), 과업내용서(과업지시서) 및 입찰공고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도 낙찰자는 계약목적물의 구매 취지에 맞는 최신 기술 및 자재를 사용하여 납품해야 한다.
2. 공급 범위 및 규격
입찰목적물의 규격은 본 입찰공고 및 제안요청서에 별첨된 규격서를 적용하며, 입찰목적물을 위하여 필요하나 규격에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부수적인 기술 사양에 대해서는 동등 이상의 국제규격에 따른다.
3. 계약방법 및 입찰 (규격 가격 동시입찰)
・낙찰자 선정 방법 : 규격·가격 동시입찰
・규격적합자로 선정된 입찰자 중 예정가격 이하의 최저가 낙찰
1)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본 규격에서 정하는 모든 사항을 숙지하여 구매자 요구사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입찰시 입찰자는 기술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서류 및 자료를 온라인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정량제안서 : 납품실적서(붙임 3) 및 납품실적 증빙서류, 신용등급평가서
・정성제안서 : 기술제안서(제작사 양식)
1) 입찰참가자격
(1)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등록규정」에 의하여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에 무정전전원장치(세부품명번호 10자리 3912101101) 로 제조 또는 공급물품으로 입찰참가 등록한 업체
(2) 「전기공사업법」 제4조에 따른 전기공사업(업종코드 0037) 면허 보유한 업체
2) 입찰서 작성 및 절차
(1) 입찰자는 입찰시 규격 입찰서와 가격입찰서를 구분하여 입찰서를 작성한다.
(2) 기술제안서에는 일반사항에 규정한 입찰시 자료제출 내용과 규격서에서 규정한 모든 항목의 규격기준에 따라 제안하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된 기술제안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1) 기술제안서는 공정하게 심사되며,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은 [붙임 1]과 [붙임 2]에 따른다.
2) 기술제안서가 입찰서의 지시사항, 규정, 규격서 및 기타 사항에 위배되고 적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연구원에서 요청한 기준에 맞는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최저점을 적용한다.
3) 기술제안서 평가는 규격평가 심사기준에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 시험 및 검사, 운반, 설치 및 시운전 등 계약목적물의 성능을 포함한 입찰자의 제반능력에 관하여 이루어지며, 평가위원회에 의하여 적격입찰자(총점 85점이상)를 선정한다.
4) 평가는 서면으로 진행하나 필요시 입찰자(회사) 또는 대리인은 수요기관(한국전기연구원)에서 정한 일시에 기술심사 평가에 참석하여 개발 역량 및 계획에 대해 발표하여야 한다.
1) 제출된 제안서는 반환하지 않으며 제안서 작성 및 제출과 필요 시 진행되는 오프라인 평가의 비용은 일체 입찰자가 부담한다.
2) 기술제안서 내용의 확인을 위하여 추가 자료 요청 또는 현장 실사를 할 수 있으며, 입찰 참가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제안서의 내용은 변경할 수 없으며, 공급자 선정 시 계약조건으로 간주하고 상기 2)항에 따라 제출 또는 보완된 자료는 계약조건으로 간주한다.
4) 제출된 제안서의 내용 중 허위 기재사항이 발견된 경우 그 중요도에 따라 평가 결과 무효 및 계약의 무효 또는 부당업체로 제안업체를 제재할 수 있다.
5) 제안자의 제안내용에 대한 확인, 검증이 필요한 경우 제안자에게 입증자료를 요구할 수 있으며, 입증자료를 제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대상에서 제외한다.
6) 제안업체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취득한 업무내용에 대하여 제3자에게 누설할 수 없고, 주관기관이 요구하는 보안사항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
7) 제안업체는 본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저작권, 사용권 또는 특허권 등의 문제에 대한 사항은 사전에 검토․조치를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일체의 책임은 제안업체에 있다.
4. 계약상대자의 책무
4.1 계약상대자는 목적물의 제작, 검사, 운반, 설치 및 시운전에 대한 일체의 책임이 있으며, 모든 부품은 정상동작 상태 하에서 파손 또는 변형이 없이 충분한 강도와 성능을 보장하여야 한다.
4.2 계약상대자는 목적물의 제작 전 한국전기연구원으로부터 제작도면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필요 시)
4.3 계약목적물을 납품함에 있어 계약 내용과 비교하여 필요한 부분의 누락 또는 생략이 되었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계약사항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고 납품하여야 한다.
4.4 계약 후 납품된 계약목적물의 하자 등 한국전기연구원의 명확한 귀책사유가 없는 경우 문제점 발생 시 이에 대한 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4.5 계약목적물의 설계, 제작, 시험 및 납품, 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제3자의 지식재산권 등의 권리 보호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발생 시 이에 대한 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4.6 과업 수행 중 발주처가 제공하는 시설, 장비 또는 제3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원상복구 또는 책임 변상하여야 한다.
5. 과업 수행 방법 및 인력 관리 (해당 시)
5.1 계약상대자의 과업 수행은 본 공고서와 발주처의 요청사항을 바탕으로 시행하며, 임의로 과업을 변경, 시행할 수 없다.
5.2 계약상대자는 발주처에서 제공하는 관련 자료를 충분히 검토하여 과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5.3 계약상대자는 과업이 계약상대자의 귀책사유로 지연될 경우에는 본 과업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인력, 장비 등을 추가 투입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4 계약상대자는 과업 수행과 관련된 자료수집 및 행정 사항 등은 직접 수행하되, 특별히 필요한 경우 발주처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5.5 발주처는 계약상대자의 용역 참여 요원이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부적당하다고 판단되거나, 태만하다고 인정될 경우 해당 요원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다.
5.6 계약상대자는 본 과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과업의 각 단계 및 분야별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이를 발주처에 보고하여야 한며 위험 요소에 대한 제거/완화 계획 및 진행 상황을 보고하여야 한다.
6. 포장 및 운반 (해당 시)
6.1 포장은 운반 및 설치현장의 습도, 기후조건 등을 감안하여 목적물 및 부품의 운반 또는 보관 중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한 포장을 하여야 하며,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색채 및 기호 등으로 각 목적물의 번호, 명칭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6.2 목적물의 운반중 목적물의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사후처리 및 원형복구는 계약상대자의 책임하에 이행하여야 한다.
7. 설치 (해당 시)
7.1 설치작업 이전에 반드시 지정된 설치장소에 대한 기초상태 등 제반여건을 사전 확인한 후에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와 관련되는 모든 비용(장비, 인원, 동력 등)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7.2 계약 후 목적물을 납품하여 설치 및 시운전시 계약상대자는 제품의 정상적인 가동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인 업무를 지원하여야 한다.
8. 안전대책 및 책임 (해당 시)
8.1 계약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계약수행 인력의 제반 안전사고 책임 및 행정적, 기술적 비용과 문제처리는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8.2 계약상대자는 한국전기연구원 내에서 계약수행 이전 이행과업 대비 작업환경, 인력, 안전장치 등을 확인하여야 하며, 특이사항 확인 시에는 수요부서 및 안전보안실에 보고 및 조치 후 과업을 이행하여야 한다.
8.3 계약상대자는 납품 및 설치 과정의 안전관리 방안을 준비하여야 하며 이의 소홀로 발생한 문제는 계약상대자가 책임을 진다.
8.4 계약상대자는 계약수행 인력에 대하여 중대재해처벌법,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직업안전법 등 제반 법률상 사용자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8.5 계약수행 중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민․형사상)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9. 보안 유지 사항
9.1 계약상대자는 공고문, 규격서 등 공개된 문서 내용 외에 계약수행 과정 중 취득한 각종 자료와 정보는 본 과업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 불가하며, 한국전기연구원의 승인 없이 소유, 타인에게 제공 및 대여하거나 외부에 공개 할 수 없다.
9.2 보안 유지가 필요한 계약의 경우 보안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비밀유지 대책, 보안각서 등 한국전기연구원의 보안 요구사항에 응하여야 한다.
9.3 계약상대자가 계약 수행과정에서 취득한 내용을 임의로 사용 또는 보안의무 위반시 한국전기연구원이 손해를 입었을 시에는 이에 대한 손해배상을 하여야 한다.
9.4 계약상대자는 계약 수행 관련 자료를 납품 전까지 별도 보관함에 구분하여 보관토록 하고, 관리책임자 정․부를 지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9.5 계약상대자는 납품 및 설치 등을 위하여 한국전기연구원에 출입할 경우 작업지정 장소 이외의 공간에 출입을 금지한다.
10. 교육훈련 및 기술지도(해당 시)
10.1 계약상대자는 필요시, 목적물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사용법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사용 담당자를 대상으로 납품 완료와 동시에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10.2 교육 일정 등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한국전기연구원과 사전 협의하여 결정한다.
10.3 목적물 작동 매뉴얼은 납품 시 제출하여야 하며, 한국전기연구원의 검사담당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11. 시운전(해당 시)
계약상대자는 시운전에 필요한 모든 사항은 준비한 시운전 계획 및 승인된 시험 점검을 위해 감독관 입회하에 시운전을 시행하여야 하며, 시운전 불합격 시는 즉각 결함부분을 시정하여 재시행하여야 한다.
12. 보증
12.1 납품되는 모든 계약목적물에 대하여 하자보증기간은 규격서, 과업내용서 등에 명시된 기간으로 하며 동 기간 안에 설계, 제작, 설치, 공사 및 재결합 등으로 고장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한국전기연구원에서 지정하는 기일 내에 무상으로 신속한 복구를 하여야 한다.
12.2 하자보증기간 만료 후에도 계약상대자는 부품, 소모품, 기타 운용에 필요한 모든 목적물에 대한 한국전기연구원의 요구에 협의해야 한다.
III. 구매 규격서
1. 일반사항
1.1 개요
- 본 구매 규격서는 한전 및 발전기 전원의 전압 변동 및 주파수 변동, 불시에 발생하는 정전 등에 대비하여 2종의 고성능 서버 장비에 항상 정전압/정주파수/무정전 상태의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구매 및 설치에 적용된다.
- 공급 제품 : 40kVA 이상급 UPS (단독운전형)
1.2 환경조건
- 사용온도 : 0~40℃
- 저장온도 : -10~45℃
- 상대 습도 : 90% 이하
- 설치 장소 : 실내
2. 주요 확보 성능(제안서 작성 시 내용에 반영 필요)
2.1 AI 학습서버 및 스트리지 서버와 원활한 연동
- 구매 UPS는 AI 모델 학습을 위한 고성능 학습서버 및 스토리지 서버의 비상 전원 역할을 할 예정으로 두 서버와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과 성능 확보가 필요함.
* 대상 학습 서버 : NVIDIA DGX H200
* 대상 스토리지 서버 : IBM ESS3500
- 설치 대상인 두 서버는 고가의 서버로 전원 공급에 따른 서버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
2.2 정전 시 대응 프로세스 및 대응 성능 명확히 제시
- 정전 시 서버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 UPS를 통한 전원 공급 프로세스 제시 필요하며, 이에 따라 서버의 전원이 정전이 일어난 시점 및 이후에 문제가 없는지 설명 필요.
- 정전 후 대략 얼마의 시간까지 안정적 전원이 유지 가능한지 제시 필요.
- 건물의 비상전원이 있을 경우도 포함하여 UPS의 대응 프로세스 제시 필요.
3. 구성 및 사양(제안서 작성 시 종합 성능 관점에서 일부 변경 가능)
3.1 Power Module
- 구성 : 20KW X 2SET(6.7KVA X 6EA, R.S.T 각 상 분리 모듈)
- 기본 모듈은 1조가 3개로 (R,S,T상으로 분리) 구성 되며, 명령 및 제어 로직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 정류기/PFCr, 인버터, 부스터, 배터리충전기, 자동 바이패스 기능의 블록으로 구성
- 파워모듈은 용량 확장 및 모든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플러그 & 플레이 타입
- 파워 모듈은 서로 분리되고, 경우에 따라 하나의 오작동 상황에서도 다른 하나의 운전이 가능하며, 향후 R,S,T 중 어떤 상의 문제 발생시에 유지보수 및 교체 시 에도 한 상의 파워모듈만 교체가 가능한 타입
3.2 INVERTER
- 반도체 소자, 방열판, 쵸크, 콘덴서 등으로 구성
-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IGBT SINE WAVE PWM 제어 방식 사용
3.3 RECTIFIER
- RECTIFIER는 정상 AC 전압을 입력 받아서 충전기와 인버터에 DC 전압을 공급
- IGBT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6-pack방식의 IGBT를 사용한며, PFC정류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사인파형의 전류를 공급하여야 함.
- 넓은 입력 전압 대역폭으로 인해 각 상에 사인파형의 전류 공급이 가능하여야 함.
3.4 CHARGER
- 본 장치는 FUSE, PFC정류기 등으로 구성되며 인버터 및 축전지의 충전 용량에 적합하게 제가되어야 함.
- 교류 입력 전원을 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며 인버터의 입력 전원을 공급.
-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속단 FUSE를 사용, FUSE 파손 시 표시반에 상태가 나타나도록 제작.
3.5 상태표시반(DISPALY 운영반)
- 본 장치는 케비넷 도어 전면 상단에 취부되어 동작 명령, 상태 표시 등을 나타내고 디지털 계수판과 제어장치 및 경보 장치를 갖춘 Microprocessor Control Unit으로 제작
- 다음의 계기 측정치는 단일 DISPLAY PANEL에 디지털로 표시되며 판독이 용이하도록 설계, 제작될 것.
1) 입력 전압
2) 입/출력 주파수
3) 직류 전압/축전지 전압
4) 축전지 충, 방전 전류
5) 각 상의 BY-PASS 전압 / 전류
6) 각 상의 교류 출력 전압
7) 날짜 및 시간
8) 부하 (LOAD) 전류 및 부하율
9) 배터리 예상 백업 시간
- 다음의 제어 기능도 디지털 DISPLAY PANEL에 나타나도록 설계, 제작될 것
1) 입력 스위치 (Q1) 차단 (OFF)
2) 축전지 회로 차단기 (QF1) 차단 (OFF)
3) 출력 스위치 (Q5N) 차단 (OFF)
4) BY-PASS 스위치 (Q4S) 차단 (OFF)
5) UPS SYSTEM 기동/정지
6) 정류기/충전기 기능 시험
7) BUZZER 및 경보 해제
3.6 정지형 자동 동기절체스위치 (SYNC, Transfer Switch)
- 본 장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정지형 절체 스위치로써 UPS와 BY-PASS 전원 회로 간에 무순단으로 부하를 절체하기 위해 구성됨.
- 동기절체 는 UPS가 고장이 발생하거나 과부하 조건이 사양조건보다 과다할 때 이루어지며, UPS의 고장이 해소되면 BY-PASS에서 UPS 전원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절체됨.
- 본 장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지형 절체 스위치는 UPS에서 BY-PASS로 절체될 때 부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무순단으로 절체되어야 함.
1) 동기절체 시간 : 무순단 절체 4mSec 이내
2) 동작조건 :
. 시동(Start-Up)동안
. 바이패스우선인 경우
. 인버터 고장인 경우
. 과부하가 오래 지속될 때, 출력이 단락인 된 경우
. 방열판이 고열인 경우
3.7 보호 장치(Battery Fuse S/W, Battery MCCB)
- 본 장비에는 출력 측의 저전압, 과전압, 과전류, SURGE 등에 대한 보호 장치를 구비하여 출력 측의 단락, 동기 절체 스위치 동작 시에 발생되는 SURGE를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함.
3.8 축전지(40kVA용)
- 축전지 TYPE :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Lead Acid)
- 축전지 용량 및 수량 : 12V, 65Ah, 20cells
- 축전지 기대수명 : 5년(25℃ 적정온도 운용시)
- 정전보상시간 : 15분(운영 부하)
- 설치형식 : Steel Panel
3.8 종합 성능 사양
- 교류 입력
1) 전압 : 380, 400, 415V 3Ph+N+PE
2) 전압 변동범위 : 400V +15% / -20%
3) 주파수 : 45-65Hz
4) 주파수 변동범위 : ±5%
5) 역률 : 0.99이상
6) 전류파형 왜율 : THDI 3%이내
- 교류 출력
1) 정격전압 : 380, 400, 415V 3Ph+N+PE
2) 주파수 : 50/60Hz
3) 효율 : 96% 이상
4) 부하역률 : 1.0
5) 파형왜율 : THD 3%이내
6) 과부하 내량 : 115% (10분), 135% (60초)
- 동작시 소음레벨 (1m 거리에서) : 62dBA 이하
4. 구조 및 재료(제안서 작성 시 종합 성능 관점에서 일부 변경 가능)
- 본 장비는 실내 거치형(수직 자립형)으로 내부회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고 방열 통풍이 잘되도록 제작.
- 계기, 조작 스위치 및 주 조정 장치는 기기 전면에 취부하여 조작이 용이하도록 제작.
- 상태표시반은 UPS의 운전 상태를 디지털로 표시하며 LCD에 선택된 상태가 나타나도록 함.
- 각 변환부는 모듈화하여 각 모듈별로 함체에서 분리되어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야 함.
- 사용되는 전기 용품 자재는 품질이 양호하고 절연도가 높은 것을 사용.
- 사용되는 모든 FUSE류는 정격에 맞는 것이어야 하며 고속용이어야 함.
- 모든 제어용 계전기류는 먼지 등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먼지방지용 커버를 구비하여야 함.
- 외함 판넬은 1.6mm 이상의 냉간 압연강판을 사용하고 표면을 방청도료로 처리 후 미려하게 에나멜 소부 도장함.
- 본품의 배선은 내열성 600V용 비닐전선을 사용하고 모든 주 회로 배선의 단말부는 기능에 따라 회로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5. 납품
5.1 기간
- 25년 12월 19일 이내
5.2 검수
- 제작사는 납품 시 한국전기연구원 담당자 입회(전기연 지정 전문가도 입회 가능)하에 학습서버 및 스토리지 서버와 연동을 테스트하는 기술검수를 실시하며, 반드시 기술검수를 통과하여야만 납품이 완료됨.
- 기술검수 결과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검수 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사양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소요 기간과 물품에 대한 비용은 제작사 측에서 부담하여야 함.
- (자체검사) 본 장치는 제작 완료 후 자체검사를 필 한 후 시험성적서를 제출하며 시험항목은 다음과 같음.
1) 구조 및 외관검사
2) 정,복전 시험
3) 출력 전압 안정도 시험
4) 출력 주파수 안정도 시험
5) 입, 출력 파형 왜율 시험
6) 출력 전압 과도변동 및 회복속도 시험
7) BYPASS절체 시험
8) 소음 측정
9) 종합효율 측정 시험
10) 상태표시 및 경보표시 기능시험
5.3 납품 시 제출서류
- 정품보증서 및 A/S확약서 제출
- 사용설명서(설치/운영/유지보수 내용 필수)
- 하자이행 보증보험증권(또는 그에 상응하는 문서)
6. 하자보증기간
- 기자재의 하자보증기간은 기술검수일자로부터 2년으로 하며, 이의 보증을 위하여 계약금액의 5%에 해당하는 하자이행 보증보험증권 또는 그에 상응하는 문서를 제출하여야 함.
[붙임 1]
규격평가 심사기준 및 배점 기준
1) 심사기준
제1조 (목적)
본 심사기준의 목적은 계약목적물의 구매에 있어서 입찰에 참여를 원하는 업체의 납품 실적, 구매규격서 만족도, 제품 제작 능력, 제품 신뢰성 및 유지보수성 등을 평가하는 입찰자격 적격여부 심사기준(이하 “심사기준”이라 한다.)을 정함에 있다.
제2조 (심사기준 기간계산 및 방법)
① 심사기준의 심사항목 및 배점은 배점 기준에 의한다.
② 심사에 따른 기간계산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입찰공고일 현재로 한다.
제3조 (심사 방법)
① 입찰에 참가를 원하는 업체는 기술평가를 위한 본 심사기준을 열람하여야 한다.
② 제출된 평가서 및 제안서 발표를 진행 할 경우 발표내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 일시 및 평가장소 : 입찰마감 후 별도 공지
③ 본 심사기준에 따른 기술심사평가를 통해 평가점수가 85점 이상인 적격 업체에 한해 가격 입찰서의 개찰 진행한다.
제4조 (제출 서류)
규격평가를 위하여 아래의 서류가 포함되어야 한다.
- 기술제안서, 관련설비 납품 실적서류등
제5조 (심사위원 구성)
정성평가를 위하여 평가위원회는 평가위원장을 포함하여 관련분야 전문가(3인이상)를 평가위원으로 구성하며 평가한다.
제6조 (기타 사항)
본 심사기준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기획재정부 협상에 의한 계약 제안서평가 세부기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동 시행령․동 시행규칙 등을 준용할 수 있다.
2) 정량평가 배점기준
○납품실적
수행실적 평가기준
|
평가등급
|
평점
|
|
100% 이상
|
100%
|
|
70% 이상∼100% 미만
|
90%
|
|
40% 이상∼70% 미만
|
80%
|
|
40% 미만
|
70%
|
* 해당 사업규모 대비 입찰공고일 기준 최근 3년간 사업수행실적(금액 기준)을 합산 적용. 단, 입찰공고일을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에 사업을 개시한 창업기업에 대해서는 최근 5년간 사업수행실적을 합산 적용
* 실적 평가 기준금액 : 29,425,000원(부가세포함)
* 무정전전원장치(세부품명번호 10자리 3912101101) 로 인정되는 실적에 한하여 실적인정
[주]
1. 수행실적은 입찰공고 또는 제안요청서 등 입찰 관계서류에 따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일자 및 납품기한에 관계없이 이행이 완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이 경우 입찰공고일에 이행완료 된 실적도 평가에 포함하나, 입찰공고일 다음날부터 이행완료된 자료는 평가에서 제외한다.
2. 등급구간 및 구간별 평점은 위 표에 의하며,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입찰공고에 달리 정할 수 있다.
3. 본 수행실적 평가기준에서 정함이 없는 사항은 ‘조달청 협상에 의한 계약 제안서평가 세부기준’의 별표9 수행실적 평가기준을 준용 할 수 있다.
○재무구조 및 경영상태
|
신용평가등급
|
평점
|
|
회사채
|
기업어음
|
기업신용평가등급
|
|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
A1, A2+, A20,
A2-, A3+, A30
|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
배점의 100%
|
|
BBB-, BB+, BB0, BB-
|
A3-, B+, B0
|
BBB-, BB+, BB0, BB-
|
배점의 95%
|
|
B+, B0, B-
|
B-
|
B+, B0, B-
|
배점의 90%
|
|
CCC+ 이하
|
C 이하
|
CCC+ 이하
|
배점의 70%
|
[주]
1.「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 제8의3에 해당하는 신용조회사 또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335조의3에 따라 업무를 영위하는 신용평가사가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하고 유효기간 내에 있는 회사채, 기업어음 및 기업신용평가등급을 중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다만,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이 다수가 있으며 그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가장 낮은 등급으로 평가한다.
2. 신용평가등급 확인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저등급으로 평가하며, 유효기간 시작일 또는 만료일이 입찰공고일인 경우에도 유효한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입찰공고일 다음날 이후에 발생 또는 수정된 자료는 평가에서 제외한다.
3. 주 1에도 불구하고, 합병 또는 분할한 자가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한 신용평가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발급된 유효기간 내에 있는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다만, 합병 후 새로운 신용평가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하고 유효기간 내에 있는 신용평가등급으로서 합병 대상자 중 가장 낮은 신용평가등급을 받은 자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4. 추정가격이 고시금액 미만인 입찰에서 입찰공고일을 기준으로 최근 7년 이내에 사업을 개시한 창업기업에 대해서는 신용평가등급 점수상의 배점 한도를 부여한다. 이 경우 창업기업에 대한 확인은 「중소기업제품공공구매 종합정보망」에 등재된 자료로 확인하며, 창업기업확인서의 유효기간 내에 있어야 한다. 다만, 제안서 평가일 전일까지 발급된 자료도 심사에 포함하며, 이 경우 입찰공고일 이전 창업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법인인 경우 법인등기부상 법인설립등기일, 개인사업자인 경우에는 사업자등록증명서 상 사업자등록일)를 제출하여야 한다.(이하 창업기업에 대한 확인방법은 같다)
5. 공동수급체의 경우 구성원별 해당 점수에 지분율을 곱한 후 그 점수들을 합산하여 최종 평가하고, 평가 결과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있는 경우 소수점 다섯째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예) (A사 점수×A사 지분율)+(B사 점수×B사 지분율)…
6.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입찰에 참여하는 경우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붙임 2]
제안서 평가기준 (평가항목 및 배점한도)
|
구분
|
평가항목
|
배점
|
점수
|
|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미흡
|
매우미흡
|
평가
|
|
정량
평가
|
기업역량 평가 및 전문성
(20)
|
납품실적
(해당 사양 이상의 실적 포함)
|
10
|
10
|
9
|
8
|
7
|
|
|
재무구조 및 경영상태
|
10
|
10
|
9.5
|
9
|
7
|
|
|
정성
평가
|
규격평가서 만족도
(60)
|
공고 규격 또는 기술과의 적합성
|
30
|
30
|
27
|
24
|
21
|
18
|
|
|
서버와의 연동 및 활용 이해도
|
20
|
20
|
18
|
16
|
14
|
12
|
|
|
납품 및 설치 계획의 적정성
|
10
|
10
|
9
|
8
|
7
|
6
|
|
|
유지보수
(20)
|
납품시스템의 신뢰성 및 내구성
|
10
|
10
|
9
|
8
|
7
|
6
|
|
|
운용 및 유지보수의 적합성
|
10
|
10
|
9
|
8
|
7
|
6
|
|
|
합계
|
100
|
합계점수 :
|
20 . .
평가위원 (인)
[붙임 3]
납품실적서
|
No.
|
발주처 정보
|
납품명(계약명)
|
세부사양
|
계약일자
|
납품일자
|
|
발주처
|
소재지
|
연락처
(E-mail / Te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적 증명서 제출시 납품실적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실적증명서, 납품증명서, 계약서(세금계산서 포함) 사본 등 증빙 가능한 자료 중 택1)를 반드시 첨부할 것.
본 입찰자격 증명을 위해 기술한 위의 내용이 사실과 같음을 확인합니다.
|
20 . . .
|
|
|
|
|
공급자 서명
|
|
|
|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귀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