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시 설 명 서
디지털 보호계전기 현장 설치도
2025. 8.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전기처
Ⅰ. 일반사항
이 설명서는 한국철도공사 전라선 전주역 등 8개소에서 운용중인 22.9kV 계통의 전력설비의 보호, 감시를 위하여 보호계전기를 동작시켜 전력기기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계전기에 대하여 적용한다.
2. 계약자의 기본책무
가. 계약자는 물품납품 전에 기술사양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기술사양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납품에 차질이 발생하여 지연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계약자는 물품납품 전반에 있어 한국철도공사(이하“공사”라 함) 제반규정 및 절차서 등을 반드시 확인하여 적합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
다. 계약자는 보호계전기에 대한 전반적인 성능보장의 책임이 있으며 하자발생으로 타 시설물에 피해 및 지장을 초래하였을 경우, 계약자 부담으로 즉시 복구 및 변상하고 그로 인한 손해배상을 하여야 한다.
라. 기존의 연계시설들과의 구성 및 특성, 운용상황 등을 확인하여 해당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여야 하며, 발생하는 문제점은 공사와 협의하여 계약자가 해결하여야 한다.
마. 공사 업무담당자가 요구하는 각종서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자체 시험성적서, 품질보증서 등] 및 기술검토 상 필요로 자료제출을 요구할 경우, 이에 성실하게 응하여야 한다.
3. 제출서류 및 자료
가. 납품 및 설치 계획서
나. 디지털 보호계전기 기능설명서(카다로그) 3부
다. 자체 시험성적서
라. 공인기관 시험성적서(시험비 납품사 부담)
마. 제작·설치도면
바. 유지보수매뉴얼 3부
사. 기타 공사가 요청하는 서류(자료)
4. 하자보증
계약자는 인수일 이전 결함이 발견될 시 즉시 이를 보완해야하며, 보완이 안되거나 보완을 태만히 할 때 또는 보완능력이 없다고 공사가 판단할 때에는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품 하자보증기간을 납품일로부터 3년(하자보증율 5%)으로 한다.
5. 교육 및 기술지원
설비의 운영과 유지보수의 원활화를 위하여 기기 운영방법 등에 대한 교육 을 3회 이상 및 공사가 필요시 기술지원을 실시하여야 한다.
6. 품질보증
가.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보증서 등을 포함하여 발주자의 모든 요구 조건에 적합해야 한다.
나. 공인인증서 및 시험성적서는 발행기관으로부터 발행받아 우리 공사로 납품전 사전 제출하여야 한다.
가. 철도공사에서 운용하는 수배전실은 보안시설임을 인지하고 계약자는 출입시 인원, 차량 등에 대한 보안(출입)규정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
나. 계약자는 본 납품과 관련하여 공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도면 및 자료가 타인에게 누출되지 않도록 보관 및 사용에 유의하여야 하며 목적 외 사용은 절대로 금하여야 한다.
다. 계약자는 본 과업을 통해 취득하게 된 사실에 대하여 외부에 누설해서는 안된다.
8. 시험 및 검사
가. 계약자는 시험실시 7일 이전에 서면으로 시험계획서 및 절차서를 담당자에게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시험은 적합한 시험 기준인 KS, ANSI, NEMA, IEEE, IEC 등에 일치하여 수행 되어야 한다..
9. 입찰 참가자격
전기공사업법 제4조 및 동 시행령 제6조, 동 시행규칙 제3조 내지 제7조에 의하여 전기공사업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
Ⅱ. 기술사항
1. 참조규격
가. 본 제품에 적용할 적용기술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산업규격 (KS)
- 한국전력공사표준규격 (ESB)
- 국제전기표준회의 (IEC)
- 국제 전기전자 기술자협회 (IEEE)
-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 미국표준규격협회 (ANSI)
- 국제 전기통신연합 (ITU)
- SPS-KEMC 1120-0579
- KRCS C175 08
2. 적용범위
가. 전북본부 내 공급되는 보호계전기는 전력 급전계통의 보호계전기 회로를 전자화하여 보호,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디지털형 배전반(이하“배전반”이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또한, 본 지시설명서 사항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KRCS C 175 규격 등에 의하며, 동등이상의 성능(기능)의 제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다.
나. 계약자의 업무범위에는 전라선 전주역 등 8개소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전력설비의 디지털보호계전기 공급, 운송, 시험 및 검사, 운영 및 유지보수 지침서 공급, 교육 훈련, 기술이전 등이 포함된다.
* 8개소(전라선 : 동익산, 금강SP, 삼례, 동산, 동산SSP, 전주, 전주SS, 신리)
다. 계약자는 사업수행 시 관련 시설 제작사양 및 설치도면, 보호계전기 카다로그, 시험성적서 등 제반사항에 대하여 공사에 사전 승인을 득한 후 납품하여야 한다.
① 디지털보호계전기 공급, 납품장소, 납품일정
② 상위 보호계전기 및 Scada와 연계하여 Data 정상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통신포트 사양 Modbus, RS-485 포트 및 철도공사 SCADA 시스템 포함)
라. 기존 설치된 보호계전기 및 제어시스템간 통신 및 호환이 가능한 제품을 공급하여야 한다.
마. 보호계전기 소프트웨어에는(펌웨어) 기 구성된 시스템 소프트웨어 Format을 맞추어 최신 버전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바. 계약자는 보호계전기 납품 확인을 위해 자료요청 시 이에 관련한 자료 일체를 제출하여야 하다.
본 제품의 설치장소 및 수량은 다음과 같다.
*규격 내 특정제품 명시는 자재등록 시스템 내역상 등록 된 사항이며, 특정제품에 제한하지 아니한다.
자재번호
|
규 격
|
지역본부
|
수량(EA)
|
설치장소
|
1116320
|
110V다기능디지털계전기:전자계전기
(GIPAM-3000FI) 110(55~120V)V
|
전북본부
|
2
|
동익산전기실
|
2
|
금강SP전기실
|
4
|
삼례전기실
|
2
|
동산전기실
|
2
|
동산SSP전기실
|
16
|
전주수전실
|
2
|
전주SS전기실
|
6
|
신리전기실
|
합 계
|
36
|
|
4. 계약범위
본 사양에 명시된 제품의 공급과 기술적 지원 및 제품의 성능보장, 보호계전기 크기로 인해 도어 타공 등 추가 작업을 포함한 설치 등 제반 사항을 계약범위로 한다.
5. 납품 및 납품기한
납품기한은 계약체결 후 총60일로 한다.
6. 성능사항
1) 보호기능
OCR(50/51)
|
과전류 계전기
|
SEF(51S)
|
모터 기동 보호용 과전류 계전기
|
UVRR(27R)
|
잔류 부족전압 계전기
|
OVGR(64)
|
지락과전압계전기
|
DPR(32P)
|
방향성유효전력계전기
|
UFR(81U)
|
저주파수 계전기
|
NSOCR(46)
|
역상과전류 계전기
|
UPR(37)
|
저전력 계전기
|
RECLOSING(79)
|
재폐로 계전기
|
PTF(60F)
|
PT 고장검출 계전기
|
OCGR(50/51N)
|
지락과전류 계전기
|
DOCGR(67NI/67ND)
|
지락내부뱡향 계전기
|
OVR(59)
|
과전압 계전기
|
NSOVR(47N)
|
역상과전압 계전기
|
DQR(32Q)
|
방향성무효전력계전기
|
OFR(81O)
|
과주파수 계전기
|
THR(49)
|
열동형계전기
|
UCR(37)
|
저전류 계전기
|
NCH(66)
|
단속계전기
|
CLP
|
돌입계전요소 억제
|
SGR(67G)
|
선택지락 계전기
|
UVR(27)
|
저전압 계전기
|
OVRR(59R)
|
잔류 과전압 계전기
|
POR(47P)
|
결상 계전기
|
DOCR(67I/67D)
|
방향성과전류 계전기
|
ROCOF(81R)
|
주파수 변화률 계전기
|
STALL-LOCK(48/51LR)
|
모터 기동 및 회전자 구속 계전기
|
SYNC(25)
|
동기 계전기
|
CBF(50BF)
|
차단실패보호계전기
|
LOCK-OUT(86)
|
폐쇄계전기 * PLC 기능으로 구현
|
OCR(50/51w1)
|
1차 과전류 계전기
|
OCGR(50/51N-1)
|
1차 지락과전류 계전기
|
DFRG(87N)
|
발전기용 차동계전기
|
OCR(50/51w2)
|
2차 과전류 계전기
|
OCGR(50/51N-2)
|
2차 지락과전류 계전기
|
OCR(50/51w3)
|
3차 과전류 계전기
|
DFR(87T)
|
비율차동 계전기
|
2) 계측 및 감시기능
- 전압 : 상/선간, 영상/정상/역상, 최대값, 불평형전압률
- 전류 : 선, 영상/정상/역상, 최대값
- 전력 : 유효 3상/A/B/C전력, 무효 3상/A/B/C전력, 피상 3상/A/B/C
- 전력량 : 유효 3상/A/B/C, 무효 3상/A/B/C
- 위상 : 전압간 위상(영상포함), 전압과 전류간 위상(영상포함), 전류간 위상(영상포함)
- 역률 : 3상/A/B/C(기본파 역률 3상/A/B/C 표시)
- 주파수 : 모선/타모선 주파수
- Demand 감시 기능(유효전력, 무효전력, 전류)
- 전압 및 전류 고조파 : 2 ~ 13 조파 감시
- 전압 및 전류 THD(Total Harmonic Distortion)/TDD(Total Harmonic Distortion)감시
- Sag, Interruption ,Swell 등의 전기품질(PQ) 감시 ▘ 전압*TR Type 제외
3) 제어 기능
- CB1 On/Off, CB2 On/Off 전용 버튼으로 차단기 2개 Direct 제어
- 차단기제어에 대한 현장/원방(Local/Remote) 제어선택 기능
4) 표시 기능
- Touch Color Graphic LCD를 이용하여 계통단선도 표시
- 전류, 전압 Vector diagram을 표시
- 고장파형 표시(Waveform recording)
- 전압,전류 고조파 Spectrum표시( 2nd ~ 13th 고조파 및 THD)
- 각종 계전기 설정치와 표시값을 전면 LCD로 집중 표시
- 고장 발생시 고장내용을 전면 LCD에 표시
- 최근 고장이력 200개 표시 및 저장(Fault recording)
- 최근 이벤트이력 1000개 표시 및 저장(Event recording)
- 최근 전력품질 200개 표시 및 저장(PQ Event recording)
- 디지털 입출력 접점(DI/DO) 상태 표시
5) 이벤트 기록기능
- 계전요소 동작, 기기상태 변화, 입출력 접점상태 변화, 설정변경, 조작내역, 자동점검 등 event 내역 1000개를 표시하고 저장하여야 한다
- 고장원인, 고장전류, 고장전압 등의 Fault 내역 200개를 표시하고 저장하여야 한다.
6) 고장파형 기록기능
- 최대 64주기의 파형(Waveform)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하며, 최대 16개까지 저장되어야 한다
- 주기당 32샘플수의 전압, 전류값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 계전요소의 동작, DI/DO 상태변화, PQ 동작때 고장파형을 저장 할 수 있는 트리거 조건을 갖추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 저장내용 : 각상 전압 및 전류, 디지털 입출력 상태, 아날로그 입출력값
7) SOE(Sequence of Event) 기능
- 계전요소 동작, 입출력 접점상태 변화, 설정변경, 조작내역, 자기진단 이상에 의한 Event 발생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순서대로 msec 간격으로 기록하여 고장분석을 용이하게 하게 하는 기능을 보유하여야 한다.
8) PLC 기능
- PLC 언어는 LD(Ladder diagram)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IEC61131-3 규격을 만족해야 한다.
- PC용 프로그램으로 로직 Upload/Download, DI/DO 이름편집, 실시간 감시가 가능해야 한다.
9) 통신 기능
- 범용의 RS485 통신방식으로 38400 bps 이상의 속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야 함
- 국제 범용의 DNP3.0, Modbus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다양한 Network 구성으로 중앙감시과의 데이터 전송 및 원방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 전면에 별도의 통신 port를 구비하여 휴대용 PC에서 각종 세팅치, Data 등에 대해 Upload/Download가 가능하여야 한다.
- 원방전력감시에서 계전기 설정값 변경 및 사고파형과 사고이벤트를 통신으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10) SBO(Select before Operating) 기능
- DIPM의 출력접점중 CB On/Off 제어 등의 Power Control 접점은 제어를 수행 하기 전에 먼저 해당하는 제어 Point를 선택한 후 정상적으로 응답하는 경우에만 제어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보유하여 제어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11) TCS(Trip Circuit Supervision) 기능
- 차단기 트립회로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여 일정간격으로 트립회로를 자동점검 할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Event 기록 및 접점 출력이 가능하여야 한다.
12) TRS(Trip Relay Supervision) 기능
- 계전기 트립 릴레이를 정기적 또는 필요시에 점검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Event 기록 및 접점 출력이 가능하여야 한다.
13) 차단 실패 감시(CBF, Circuit Breaker Failure) 기능
- 차단기 트립 또는 조작시에 Fail이 발생하면 Alarm을 출력하고 계통보호를 위하여 상위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등의 동작으로 사고파급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14) PT 및 CT 이상 감시 기능
- PT 2차측 Fuse 개방(Melt down)을 검출하여 Fuse 개방과 계통의 전압 이상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계통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 CT 이상 감시(CTF, CT Failure) 기능 : CT의 단선을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15) 계전요소 setting group 기능
- 계전요소는 최대 3개의 setting group을 갖고, 그 중 1개 이상의 setting group을 적용하여 부하 변동 시 최적의 정정 그룹으로 자동 절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16) CLP(Cold Load Pick-up)기능
- 차단기를 투입할 때 부하의 돌입전류로 인하여 OCR/OCGR이 의도치 않게 동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단기 투입 후 일정시간 동안 OCR/OCGR 설정값을 높여주는 기능
17) 여러 개의 보호계전 요소를 내장하고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18) 과전류 보호(50/51), 지락과전류 보호(50/51N)등과 같은 주요 보호계전요소는 Low Set, High Set으로 구분하여 별도로 정정할 수 있어서 보호협조에 용이하여야 한다.
19) 전압-전류의 백터도그림 표시기능이 있어 상대적 위상각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0) 전압,전류의 고조파 분석 및 Spectrum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THD(Total harmonic distortion)감시기능이 있어야 한다.
21) Touch Color Graphic LCD화면에서 Mimic Diagram으로 계통단선도 및 차단기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2) 최대수요전력(Peak demand) 감시 기능이 있고, 경보출력을 낼수 있어야 한다.
23) PC용 운용 프로그램을 통해 계전기 정정, 동작특성 그래프 확인 및 각종 데이터의 Upload/Download가 가능해야 한다.
24) RMS Trend 기능
- 모터부하의 정확한 Relay Coordination을 할 수 있도록 기동전류 크기 및 시간 확인이 가능한 Trend 분석 기능
- 10개 (Trigger CB Close), 저장길이(1분): 3600Sample(1sample/1cycle)
25) 표시화면중 주요문자는 영어와 한글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6) 정격
사용 온도범위
|
-25℃ ~ 60℃
|
보존 온도범위
|
-40℃ ~ 70℃
|
사용습도범위
|
80%이하(이슬이 맺히지 않을 것)
|
제어전원
|
AC/DC 110, DC 125V
|
소비전력
|
상시 30W 이하, 동작시 50W 이하
|
입력부담
|
PT회로 : 0.5VA이하, CT회로 : 1.0VA이하
|
입력사양
|
(전압) PT:110V, GPT: 190V, 190√3V, (전류) CT: 5A, ZCT: .1.5mA
|
27) 입출력 접점
- 디지털 접점출력 : 20개 이상
- 디지털 접점입력 : 21개 이상
28) 통신규격
규 격
|
통신방식
|
프로토콜
|
통신규격
|
RS-485
|
DNP3.0 SERIAL
MODBUS-RTU
|
•통신 거리 : 최대 1.2Km
|
•통신 속도 : 9600, 19200, 38400bps
|
•통신 선로 : 범용 RS485 2-Pair cable
|
•동작 모드 : Differential
|
•전송방식 : Half-Duplex
|
•최대 입출력 전압 : -7V ~ +12V
|
Ethernet
|
DNP3.0 TCP
MODBUS-TCP
IEC61850Ed.1/Ed.2
|
[10/100Base-TX]
|
•통신 거리 : 세그먼트당 최대 100m
|
•통신 속도 : 최대 100Mbps
|
•통신 선로 : UTP(CAT.5), STP(Level 3)
|
•토폴로지 : Star형
|
[100Base-FX]
|
•통신 거리 : 세그먼트당 최대 2km
|
•통신 속도 : 100Mbps Full-Duplex
|
•통신 선로
|
-Wavelength : 1300nm
|
-Multi-Mode fiber
|
-Fiber Size : 62.5/125, 50/125um
|
-Optic Connector : LC 타입
|
•토폴로지 : Star형
|
7. 검사와 시험
가. 검사
1) 각 부의 구조 및 치수의 승인도면과 일치여부를 검사하고, 본체의 외부 도장상태 및 명판등의 부착물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한다.
2) 구조검사는 제품 전량에 대하여 시행한다.
나. 시험
1) 계약수량 1대에 대하여 다음 각 시험항목으로 공인기관에서 실시하는 시험을 실시한 후 공인기관 시험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동일규격의 제품에 대하여 공인검수시험면제증 보유업체는 제작사 자체시험을 실시하여 자체시험성적서와 공인검수시험면제증 사본을 제출하면, 그 시험은 면제된다.
* 또한, 최근 3년간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납품한 실적이 있는 경우 공인기관 시험성적서의 동일한 시험항목을 면제 할 수 있다.(다만, 최근 3개년 동안 납품된 물품에 대하여 하자발생이 없어야한다.)
- 시험항목
번호
|
시험항목
|
시험 및 검사방법
(SPS-KEMC 1120-0579 적용)
|
기준 조건
|
시험
|
검사
|
1
|
구조 검사
|
6.1항 적용
|
○
|
○
|
2
|
동작특성 시험
|
6.2항 적용
|
○
|
-
|
3
|
안전성 시험(절연시험)
|
6.3항 적용
|
○
|
-
|
|
(3.1)절연저항 측정
|
6.3.1항 적용
|
○
|
-
|
|
(3.2)상용주파 내전압 시험
|
6.3.2항 적용
|
○
|
-
|
|
(3.3)임펄스 내전압 시험
|
6.3.3항 적용
|
○
|
-
|
4
|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
6.4항 적용
|
○
|
-
|
5
|
통전시험
|
6.5항 적용
|
○
|
-
|
|
(5.1)과부하내량 시험
|
6.5.1항 적용
|
○
|
-
|
|
(5.2)부담 측정 시험
|
6.5.2항 적용
|
○
|
-
|
6
|
접점성능 시험
|
6.6항 적용
|
○
|
-
|
7
|
내환경 시험
|
6.7항 적용
|
○
|
-
|
8
|
기계적 시험
|
6.8항 적용
|
○
|
-
|
- 판정기준
번호
|
시험항목
|
판정기준
|
1
|
구조 검사
|
6.1항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을 충족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한다.
|
2
|
동작특성 시험
|
6.2항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6.2항에 기술되지 않은 보호요소는 제조사가 제시한 시방을 적용한다.
|
3
|
안전성 시험(절연시험)
|
-
|
|
(3.1)절연저항 측정
|
절연저항 측정 시 100MΩ 이상이어야 한다.
|
|
(3.2)상용주파 내전압 시험
|
내전압 인가 중 섬락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
|
(3.3)임펄스 내전압 시험
|
내전압 인가 중 성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4
|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
전자기 방해 시험은 6.4.1.2항에 제시된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전자기 내성 시험은 판정 등급에 따라 시험 전, 중, 후 시험품의 상태, 동작 및 통신 기능을 확인하며, 기능 단위별 판정 기준은 부속서 C를 따른다.
|
5
|
통전시험
|
-
|
|
(5.1)과부하내량 시험
|
6.5.1항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전기량 인가 시 전기적, 기계적으로 이상이 없어야 한다.
|
|
(5.2)부담 측정 시험
|
변성기, 변류기, AC 전원, DC 전원 및 디지털 입력포트에 대한 부담값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
6
|
접점성능 시험
|
6.6항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
7
|
내환경 시험
|
시험 전, 중, 후 시험품의 동작 및 통신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8
|
기계적 시험
|
시험 레벨 1 적용 후 시험 전, 중, 후 시험품의 동작 및 통신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다. 시험방법
1) 성능시험
- 계약자는 납품되는 보호계전기에 대해 지시설명서에 명시된(6항) 성능사항에 대한 시험을 생산 공장의 시험설비를 이용하여 발주자 입회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2) 종합성능시험
- 이 지시설명서에 명시된 제반사항의 성능보장을 위한 시험으로 설치완료 후 모든 기능, SCADA와의 연계, 제어시스템간 통신 및 호환 등에 대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3) 시운전
- 현장설치 및 종합성능시험이 완료 후 설치 개소마다 시운전을 1일이상 시행하여야 한다.
8. 표시사항
가. 표시사항 : 장비의 보기 쉬운 적당한 위치에 다음 사항이 명시된 회로도를 부착해야 한다.
1) 단자 기호
2) 내부요소 주요 명칭 또는 기호
나. 명판 : 장비의 보기 쉬운 위치에 다음 사항을 기재한 명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1) 제품명(명칭)
2) 형식명
3) 정격사항
4) 제조자명
5) 제조일련번호
6) 제조일자
9. 기타사항
가. 본 사양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우리 공사 계약규칙에 준하며, 상호 이견 발생시 상호 협의에 의해 해결한다.
나. 구매자가 승인하여 설치한 기기일지라도 기본규격의 성능발휘에 하자가 발견되거나 제작승인사양서 등 승인규격과 상이한 경우에는 제작자의 책임으로 조치 시행한다.
다. 계약자는 기존 철도공사 전력계통(보호계전기 설정값, 포인트리스트 등) 운영에 차질이 없게 계약물품을 설치 하고 시험 및 시운전을 시행한다.
라. 계약자는 계약물품 시험 및 시운전시 관계기술자를 파견하여 입회 및 기술협조를 하여야 한다.
마. 계약물품 설치 및 시운전시 전기철도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 배전선로 급·단전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고, 철도공사 정산 기준에 따라 사후 정산처리 한다.
|